본문 바로가기

출간기획서2

300 페이지를 대변하는 1 페이지의 힘 출판사에서 계약을 진행한다는 것만큼 원고가 시장성이 있다는 얘깁니다. 즉 돈이 될 만해야 출판사에서도 덤빕니다. 그렇게 돈이 될 만한 원고임을 한방에 어필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출간 기획서입니다. 최소한 이 원고가 어떤 원고인지 담당자에게 단번에 어필이 되어야 읽힙니다. 역지사지라고 했습니다. 만약 당신이 원고 뭉텅이를 투고 받은 출판사 담당 직원이라면 원고를 파악하기 위해 가장 먼저 무엇을 할까요? 더구나 약속이 있는 금요일 저녁이라면 이메일을 열어보기도 전에 짜증이 날 것입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이 확인하고 처리를 해야 하는 상항이라면 무엇부터 봐야 할까요 ? 당신이 약속 시간을 지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잘 정리된 출간 기획서를 먼저 보는 것입니다. 출간 기획서는 정해진 양식이나 형식이 있는 것.. 2021. 5. 31.
꼭 필요한 출간기획서 우선 원고를 출판사에 보내는 행위를 투고라고 하는데 바로 이 투고에도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 메일 주소만 있다고 무턱대고 출판사에 보내봐야 담당자에게는 뭐 그렇고 그런 원고 혹은 스팸 정도의 취급을 받을지도 모릅니다. 몇 개월을 공들여 쓴 원고가 아무런 피드백 없이 한순간에 휴지통으로 간다면 너무나 가슴 아플 것입니다. 투고에 앞서 선행되어야 하는 작업이 바로 출간 기획서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머리말은 책의 자기소개서라고 했습니다. 독자와 제일 먼저 만나는 책의 첫인상이죠. 반면 출간 기획서는 출판사와 제이 먼저 만나는 첫인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투고하는 데 꼭 필요한 요소입니다. 혹자는 출간 계획서, 혹은 출간 제안서, 출간 개요서라고들 하는데 맥락은 같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원고를 완성해서 투.. 2021. 5. 27.